SF 2

NO인(人) 세계관

NO인(人) 세계관 안녕하세요 kaether 입니다. NO인(人) 세계관 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끄적여 봅니다. 세계 수명 통계의 따르면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23세기에 이른 인류의 기대 수명은 어느덧 150세에 저물었다. 당연히 이는 과거에서부터 인류의 의학 기술이 진보해 옴에 따라 일궈낸 결과였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인류는 자아가 있는 안드로이드 아델을 만듦과 동시에 인간의 줄기세포 기반의 생물학 연구와 더불어 나노 바이오 테크놀로지 기반의 바이오 의체를 발전시키는데 성공했다. 혹자들은 23세기에 이륙한 기대 수명이 고작 150세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것 또한 이 시대의 풍토를 알고 난다면 애기가 달라 질 것이다. 팩트는 23세기 인류의 기대 수명은 150세 이지만 중요..

소설/NO인(人) 2023.05.25

에피소드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에피소드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안녕하세요 kaether 입니다. NO인(人) 의 에피소드 중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에 대해 끄적여 봅니다. 우선 이번 에피소드에서 말하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에 영감을 받은 것은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입니다. 일단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의 한글 직역 제목을 보고 흔히들 노인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오해들 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사실 아일랜드의 시인 윌리엄 버트러 예이츠의 시 Sailing to Byzantium 의 첫 구절 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 에서 따온 것으로. 이를 해석하면 세상이 많이 바뀌고 험악해지며 자신이 이해할 수 없게 변했거나 돌아가기 때문에 노인이 살아갈 만한 나라가 아니다 에 ..

소설/NO인(人) 2023.05.25